인도 애플스토어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25-04-14 06:42 조회1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인도 애플스토어를 방문한 팀쿡 [AFP 연합뉴스] 애플이 지난 1년간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이폰 생산량을 60% 늘려서 전체 아이폰의 20%가 인도에서 생산됐다. 미국과 중국 사이의 관세 전쟁이 계속되면서 이 비중은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12개월 동안 인도에서 220억달러 상당의 아이폰이 생산돼 전년 대비 생산량이 약 60% 증가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이폰의 약 20%가 인도에서 생산되는 것이 된다.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2022년까지만 해도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이폰의 비중은 14% 정도로 추정됐다. 하지만 애플은 꾸준히 중국 생산량을 줄이고 인도에서 생산 비중을 늘렸다. 또한 인도 내수용의 저가 제품을 넘어서 최신 아이폰을 인도에서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 출시된 아이폰16의 경우 인도에서 고급 모델인 아이폰16 프로와 아이폰16 프로 맥스도 생산하기 시작했다.애플은 과거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중국에서 아이폰 생산에 차질이 생긴 후 인도로 아이폰 생산 공장을 옮기고 있다. 중국 내에서 아이폰 최대 공장을 운영하는 폭스콘이 인도에서도 대부분의 생산을 담당하고, 타타그룹의 위탁제조 사업부문도 생산을 일부 담당한다. 타타그룹은 대만 위스트론의 인도 사업을 인수하면서 이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의 아이폰 생산이 인도에서 늘어날 경우 이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제조업 육성 계획이 성공을 거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모디 총리는 27억달러 규모의 재정 인센티브를 통해 전자 부품 제조를 확대하고, 인도에서 반도체 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애플은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약 8%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4회계연도에는 약 80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인도 기술부는 2025년 3월까지 1년 동안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 중 1조5000억루피(약 25조원)어치가 외국으로 수출됐다고 지난 8일 밝혔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아이폰 출하량 증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월에 상호관세에 대한 계획을 발표한 이후 가속화됐다.트럼프 행정부는 12일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포함한 전자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면제했다. 이에 따라 아이폰 가격의 급격한 인상은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서울 외 지역 거주자의 매수세가 강해졌다. 서울 주택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미분양 물량이 나오면서 서울 거주를 원하는 수요가 시장에 뛰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 노원구 서울원 아이파크 갤러리에 설치된 모형도. 2024.11.22 [사진=이수현 기자] 14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외 지역 거주자가 거래한 서울 노원구 아파트는 379건으로 서울에서 가장 많았다. 두 번째로 거래가 많았던 서초구(194건)와 비교해도 100건 이상 거래가 많았다.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거래 현황은 매매와 증여, 교환, 분양 계약 등을 포함한 수치다. 노원구의 경우 서울원 아이파크가 분양된 지난해 12월 273건이던 거래량이 1월 1496건으로 늘었고 2월 1410건을 기록했다.서울 외 거주자 거래량도 분양과 동시에 늘었다. 서울원 아이파크의 분양이 시작된 당시 63명이던 서울 외 거주자의 거래건수는 지난 1월 176건으로 늘어난 데 이어 2월에도 2배 이상 늘었다. 노원구민을 제외한 서울 지역 거주자의 노원구 거래량은 지난해 12월 92건에서 올해 1월 1046건으로 늘어난 후 2월 764건으로 줄었다.서울원 아이파크는 1856가구에 달하는 대단지로 지난해 12월 분양 이후 대다수 물량을 털어낸 후 이달 55가구 대상 임의공급을 진행했다. 처음 입주자 모집에서는 서울 내 거주자를 최우선 순서로 두지만 임의공급은 지역 제한이 없는 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서울 내 거주자보다 서울 외 지역 거주자가 분양받는 비중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박지민 월용청약연구소 대표는 "노원구의 경우 높은 분양가에 서울 외곽인 만큼 서울 내 수요가 한정적"이라며 "그와 달리 외지에서는 높은 서울 주택 가격을 고려할 때 서울 진입을 위한 주택으로 매수할 만하다는 인식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노원구뿐 아니라 서울 전체 거래에서도 서울 외 지역 거주자 거래 비중이 늘었다. 지난 2월 서울 외 거주자의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은 23.53%로 2023년 6월 23.56% 이후 가장 높았다.자치구 중 강동구가 1월 57건에서 2월 104건으로 2배 가까이 늘었고 강남구도 45건에서 103건으로 증가했다. 영등포구의 경우 전체 거래는 1월 297건에서 2월 282건으로 줄었지만 서울 외 거주자 거래는 53건에서 82건으로 오히려 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