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상위노출
독일의 한 석탄화력발전소 굴뚝에서 연기가 솟아오르고 있다. AP 연합뉴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석탄발전을 줄이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에서만 암모니아와 석탄을 섞어 태우는 ‘혼소’ 방식으로 석탄발전소 수명을 연장하는 ‘꼼수’를 부린다는 글로벌 연구단체의 지적이 나왔다. 탄소 저감 효과가 적은 암모니아 혼소 방식을 추진할 경우 글로벌 탄소 규제로 인해 한국 수출 기업의 경쟁력이 악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비영리 연구단체인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가 3일 발표한 ‘붐 앤 버스트 석탄 2025' 연례보고서를 보면, 전 세계의 석탄발전소 신규 건설 규모가 지난해 44기가와트(GW)로 2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신규 석탄발전소 규모인 72GW보다 38.9% 낮고, 역대 최고치였던 2015년 107GW보다 58.9% 줄어든 수치다.이는 신규 석탄발전소를 건설하는 국가가 2015년 65개국에서 지난해 33개국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석탄발전소를 완전히 폐쇄한 영국을 비롯해 미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 등 주요 7개국이 기후대응을 위해 2035년까지 석탄발전 퇴출을 약속하는 등 전 세계적인 탈석탄 분위기도 영향을 미쳤다. 반면 한국은 지난해와 올해 신규 석탄발전소 2기(삼척블루파워 1·2호기)의 상업운전을 시작했다.전체 석탄발전 용량도 9.2GW 감소했다. ‘기후악당’으로 지목된 중국, 인도를 제외한 국가들에서 신규 건설보다 퇴출이 많았던 덕이다. 다만 중국, 인도의 발전량 증가로 지난해 전 세계 석탄발전량은 18.8GW 증가한 2175GW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 세계 석탄발전소 신규 건설 규모가 44기가와트(GW)로 2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붐 앤 버스트 석탄 2025’ 갈무리 보고서는 이와 함께 한국과 일본이 “탄소 저감 수단”이라며 암모니아 혼소 기술을 이용해 석탄발전소 수명을 늘리고 있는 점을 비판적으로 봤다. 암모니아 혼소를 하려면 발전 설비를 바꾸고 비용을 들여 암모니아를 공수해야하는데, 이 때문에 탄소 감축 효과가 미비해 탈석탄 기조에 역행한다는 것이다. 한국 정부는 2030년 기준 운영되는 석탄화력발전소 43기 중12·3 비상계엄 이후 나타난 ‘말벌 동지’를 아십니까. 말벌 동지는 하청노동자와 해고노동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이 투쟁하는 현장에 말벌 아저씨처럼 순식간에 뛰어가 연대하는 이들을 일컫는다. <나는 자연인이다> 프로그램에 출연한 한 남성이 말벌이 나타나자 꿀벌을 지키기 위해 황급히 뛰어가는 ‘말벌 아저씨’ 밈(meme·온라인상의 유행어)에서 유래했다. 지난 3월 25일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전봉준투쟁단이 서울 서초구 남태령 고개에서 연 집회에서 한 시민이 말벌 동지들이 자체 제작한 ‘메탈 저항’ 머리띠를 착용하고 있다. 정효진 기자 말벌 동지들은 어디서 왔고, 어떻게 살고 있을까. 기자는 말벌 동지 16명을 심층 인터뷰했다. 이들은 노동조합이나 시민단체로 조직되지 않은 개인들이다. 16명 모두 2030세대였고, 여성 또는 성소수자였다.각자의 활동 계기와 방식은 조금씩 달랐지만, 이들은 말벌 동지로 사회적 약자들의 투쟁에 연대하면서 시민이 힘을 모으면 불합리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 어떤 방법으로 어떻게 타인과 연대를 해야 할지 그 방법을 깨달았다고 했다. 이들은 비장하고 엄숙했던 기존 노동조합의 투쟁 분위기를 바꾸고, 연대와 연대를 잇는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말벌 동지들의 ‘다시 만난 세계’는 어떤 모습인지 살펴봤다.여러 의제 분출된 남태령 대첩인터뷰에 응한 말벌 동지들 대부분은 계엄 이전엔 사회참여를 아예 해보지 않았거나, 해봤더라도 적극적이진 않았다고 했다. 민주노총이라는 단어는 알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노동자들의 투쟁에 시민이 연대할 수 있는 것인지 몰랐다고 했다. 이들은 계엄 이후 서울 여의도·광화문 등지에서 열린 탄핵 촉구 집회에 나갔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21~22일 이른바 ‘남태령 대첩’ 때 “새로운 세상”을 접했다고 했다. 농민들이 왜 트랙터 시위를 하는지가 X(엑스·구 트위터)에 올라왔고, 1박2일 집회에선 여성, 성소수자, 인종, 장애인, 노동자 차별 등 다양한 사회의제에 대한 발언이 쏟아졌다. 지난 3월 25일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전봉준투쟁단이 서울 서초구 남태령 고개에서 연 집회에서 한 시민이 ‘잼투(재밌게 투쟁)’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있
홈페이지상위노출